본문 바로가기

칼럼

[칼럼] 봄에 심해지는 무릎통증



봄이 오면서 자연스럽게 활동량이 많아집니다.

이 시기는 꼭 무리한 운동이나 활동이 아니더라도 무릎관절에 무리가 오기 쉬운 때이기도 합니다.

무릎관절증이 3~5월에 증가하는 이유는 겨울 동안 활동량이 적어 근력, 유연성 등이 떨어진 신체 상태로 조깅, 등산 등 야외활동을 하는 것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인 무릎관절은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손상되기 쉽습니다.

뼈 구조가 불안정하고 다리의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퇴행성관절염뿐만 아니라 슬개골 연골연화증이 흔히 발병합니다.

슬개골 연골연하증은 무릎 앞쪽에 있는 슬개골의 연골이 약해짐으로써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젊은 연령층에서 원인 모르게 무릎 통증을 호소하며 방사선 검사나 자기공명촬영(MRI) 등에도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경우의 대다수가 이 원인에 의한다고 알려져 있고 특히 여성에서 좀 더 흔합니다.

슬개골 연골연하증 환자는 슬개골에 압박이 가해지는 자세, 즉 쪼그려 앉기, 계단 오르내리기, 가파른 경사의 등산 등을 피하고 운동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연골연화증이 방치되면, 연골 결손 등으로 이어져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체질의학적으로 보면, 무릎을 지나는 위장과 비장경락이 약해질 수 있는  소음체질(팔제질에서는 '수'체질)에서 빈번히 나타납니다. 평소 소화가 잘 안되고 배가 더부룩한 증상과 함께 손발이 차고 변비나 설사 경향이 있으면 소음체질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나타나는 무릎통증은 위장과 비장을 튼튼히 해주는 치료를 하면 어렵지 않게 치유됩니다. 

간혹, 무릎부위가 붓고 열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체질적으로 소양체질(팔제질에서는 '토'제질)에서 주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치료 방법과 주의사항이 다릅니다. 처음부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게 좋습니다.

중요한 것은 완전히 좋아질 때까지 치료하는 것입니다. 몇 번 치료로 호전된 상태에서 치료를 중단하면 괜찮았다가 심해졌다가를 반복하여 퇴행성 무릎 관절염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집에서 간단히 할 수 있는 운동으로는 대퇴사두고근 강화운동(QSE)이 있습니다.
다리를 쭉펴고 무릎을 곧게 편 상태로 앉아서 무릎 밑에 수건을 적당히 말아서 넣습니다.
발목을 최대한 위로 젖히면서, 바닥에서 발뒤꿈치가 주먹 하나 들어갈 정도로 올립니다.
이때 무릎으로 수건을 지긋이 누르고 근육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느끼면서 5초에서 10초 정도 버팁니다.
15회를 1셋트로 해서 양측을 번갈아가면서 3세트 정도 합니다.


관절의 통증은 생명에 위협을 주거나 단기간에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젊은 사람들은 관절이 주는 통증 신호에 소홀하게 대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원인을 정확히 찾아서 적절히 대처해야 튼튼한 관절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